개발노트 2

또 다시 개인 사업자의 전산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이곳 카테고리 끄적끄적은 두서 없이 제 생각을 나열해서 적어 내려가는 곳입니다. 읽기에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사업자가 필요로 하는 전산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고, 정리를 하는 과정이 필요한것 같다.예시를 만드는 나도 그렇지만, 실제 개발자들도 이런 과정들을 잘 거쳐야 수정을 덜 하지, 아니면 나중에 수정하다가 프로그램 삭제하고 새로 만드는 경우가 생긴다. (물론 내 걱정이다. 다들 잘 하시겠지만...) 가장 직관적인게 기능적 관점이다. 프로그램의 기능 /w 업무 프로세스. 업무 프로세스의 스토리 라인은 프로그램이나 업무 행위의 루틴을 내포하고, 그 루틴중에 프로그램이 대신 해줄수 있는 것들을 찾아서 천천히 내 일을 PC에게 넘기는 단계로 진화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조금씩 일을 더 ..

DB프로그램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개념이 가장 필요할까?

여기서 말하는 개념은? 1) 프로그램이 어떤 구성을 기능적으로 갖는가? = 입력을 하고 버튼을 누르면 저장을 하면 내 화면에 출력된다.2) 프로그램이 어떤 기능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가? =  코딩이 어떻게 구성되야 하는가? 이 두가지의 개념이 자리잡고 있어야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만들고 조작할 수 있다. 아마도 프로그램을 만들고 사용하면서 계속해서 이 두가지 질문을 해야한다고 본다.  위의 흐름은 그냥 봐도 어떻게 흘러가는지 내용이 이해될듯하다.읽기 나름이긴하나, 버튼하나로 위의 내용들을 작동시키려면버튼을 누르면'원자재 채취를 시작하고, 원자재 채취가 끝나면, 유통을 하게 하고, 유통이 끝나면 소비를 하게 하고, 소비가 끝나면 폐기를 하게한다.' 이렇게 다른 개념들을 한번 또는 여러번 반복 작동시켜서 일의..